COS는 주로 변압기의 1차측에 각 상마다 취부하여 변압기의
보호와 개폐를 위한 것으로서 단극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면 퓨즈홀더가
중력에 의하여 스스로 개방되므로 용단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COS에
퓨즈대신 동봉을 사용할 경우 단로기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고압용과 특고압용이 있다.
고압용은 보통 자기제 내면에 퓨즈를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표> 고압COS의 규격
정격전압 |
연속 통전전류 |
정격 차단전류 |
부하 개방전류 |
정격주파수 |
7.2㎸ |
50A |
역율
50% 이하일 때 |
역율 80% 일
때 |
60㎐ |
특고압용은 원통형의 자기제 외면에 퓨즈를 장치한 구조.
<표>특고압 COS의 규격
정격전압 |
정격전류 |
정격차단전류(㎄) |
정격주파수 |
|
비대칭 실효치 |
대칭 실효치 |
|||
25㎸ |
100A |
6 |
4 |
㎐ |
10 |
7.1 |
|||
12 |
8 |
COS는 전력용 퓨즈와는 달리 용단시 FUSE 링크를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표> COS의 정격전류
정격전류(A) |
1,3,5,6,8,12,15,20,25,30,40,50,80,100 |
전기설비 기술기준 42조 4항 고압퓨즈에 의하면 포장퓨즈는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2배의 전류에 120분 이내에 용단되는 것이어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변압기 정격전류의 1.4~2배의 범위에서 선정하는 것으로 많은 문헌에 나타나고
있으나, 고압퓨즈의 특성과 부하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보통
1.5배 정도)
그러나 변압기에 채용하는 과부하보호를 위한 퓨즈의 정격은
과부하운전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100%가 적당하며, 정격이 없는 경우에는
직근 상위의 것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최근에는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사용전 검사에서도 cos정격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