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적으로 접지공사를 하는 방법으로 이상적인 독립접지는 2개 이상의 접지전극이 있는 경우에 한쪽전극에 아무리 많은 전류가 흘러도 다른 쪽 접지극에 전혀 전위상승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며, 20m이상(무한 대의 경우 외에는 독립이라 할 수 없으나)이격시 전위상승에 대한 그 영향이 작다고 하고 있다.
1개 또는 수 개소에 시공한 공통의 접지극에 개개의 설비기기를 모아서 접속하여 접지를 공용하는 방식으로 접지를 한점에 모으는 것과 건축 구조체에 접지선을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구분 |
독립접지 |
공용접지 |
장점 |
|
|
단점 |
|
|
최근의 컴퓨터설비,
자동제어설비, ME기기 등의 기기는 미소한 전압으로 동작되는 특성으로 접지극의
전위상승으로 인한 기기의 오동작, 부동작, 시스템 다운, 소손의 우려가 있다.
의료용 전기설비, 컴퓨터, 각종 고감도 측정장치
공용접지의 조건은 구조체를 이용하는 경우와 구조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여 생각하여야 한다.
공용접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뢰기를 제외한 1종과 3종, 특3종의 공용은 실용상 지장이 없다.
최근의 연구결과 접지저항 값이 2Ω 이하의 접지저항이 확보될 경우 공용이 가능하며, 절연협조상으로는 오히려 공용함이 바람직하다는 사고(思考)가 유력하여 제3종 접지도 충분한 저 저항 값을 잡아 공용한다.
원칙적으로 제2종 접지는 독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이 철골조,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 콘크리트조 등 전기적으로 건조한 상태일 때만 공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지극을 독립시켰을 경우에도 전기적으로 구조체 접지와 동일하게 되므로 공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