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 탱크내에는 0.2~0.5㎏/㎠의 SF6 가스, 기타 탱크에는 0.2~0.5㎏의 질소가스가 충진되어져 있으므로 탱크 연결부위 및 부품을 취부하는 이외의 가스 구획내 가스는 배기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4. 증설공사의 경우, 기설부분을 부분정전으로 작업하므로 오판으로 운전중인 가스구획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5. 조립전에 반입된 부품의 총수량을 기록하고 작업완료후 사용된 부품과 나머지 수량을 확인한다. 또한 손상된 부품을 필히 꼬리표를 붙여 "사용금지"표시를 명확하게 한다.
6. 탱크 접속부위의 수송용 카바를 해체후 내부부품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7. 가스기밀면은 제품의 생명이므로 기밀면에 마찰, 긁힌자국 및 도막의 벗겨짐 등을 확인한다.
8. O-ring 홈에 O-ring 삽입시 도포하는 히타루배의 양이 과다할 경우는 장시간 경과시 히타루베중의 파라핀이 경화되어 가스가 새는 경우가 있으므로 히타루배는 지문이 남아있을 정도로 도포한다. (절연스페이서의 기밀면은 히타루베를 도포할 필요가 없음)
9. 탱크의 접속전에 접촉자의 접촉깊이를 확이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탱크 플랜지면과 접촉자의 길이를 확인하다.
10. 탱크의 접속시에는 비닐보호 카바위에 쌓인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카바하부를 위로 올리면서 동시에 카바 외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카바중에 싸넣어 말아 버리면서 카바를 제거한다.
11. 플랜지 접속 및 카바부위의 볼트체결은 하기와 같이 실시한다.
12. 가스배관연결 작업시 일시적으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 또는 밸브의 가스배관 구멍을 비닐테이프로 막을 경우에는 비닐 테이프를 조금 길 게 끊어 가스구멍에 붙임과 동시에 남은 부분을 측면에 붙여 차후 플랜지 연결시 테이프를 제거하지 않고 플랜지 부분이 연결된 부위는 외부로부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GIS의 각종 연결부의 연결상태가 양호한가의 여부와 수송으로 인한 각종 연결부의 이완상태를 재확인하며, 각 부위의 조립상태가 정상적인지 판단하기 위함
[표] 가스밀도 검출기 동작압력 허용오차범위 : ±0.2kg/㎠.G
압력구분 |
접점구분 |
설정압력 (0.2kg/㎠.G at 20℃) |
비고 |
|
on |
off |
|||
6 kg/㎠.G |
1차접점 |
5.5 |
5.8 |
|
2차접점 |
5.0 |
5.3 |
||
5 2kg/㎠.G |
1차접점 |
4.5 |
4.8 |
|
2차접점 |
4.0 |
4.3 |
||
3.5 kg/㎠.G |
1차접점 |
3.0 |
3.3 |
|
2차접점 |
2.5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