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든 미국과 일본에서 잇달아 무선 LAN
시스템을 발표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LAN 은 이제 컴퓨팅
환경의 기본요소로 자립잡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치 및 관리적 측면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저렴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무선 LAN 에 대한 연구개발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무선 LAN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무선이면서도 통신망 구성비가 매우 저렴하다는데
있으며, 성능을 개선시키고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사용자의 거리를 보다 넓혀줄
수 있다면 이는 차세대 LAN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최근에
와서야 여타의 다른 LAN과 토큰링의 호환성 및 접속성이 대두되고 있는 등의
산적한 문제들을 일거에 해결해 줄 수 있는 무선 LAN의 개발에 역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유선 LAN 이 그러하듯이 무선 LAN도 나름대로의
다양한 성능과 구조적 영역을 갖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약 20개 회사가 무선
데이터 전송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부은 무선 데이터 수집단말과 같이
저속의 점-대-점 장치만 제공하고 있다. 그 중 몇몇 Vendor 들 만이 무선 LAN으로서
제구실을 수행하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들은 크게 두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저속 및 중속(1Mbit/s 이하)의 LAN과 고속(1Mbir/s) LAN으로 나눌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스프레드 스텍트럼,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및 적외선 등 3가지 유형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스프레드 스펙트럼
스프레드 스펙트럼은 무선 LAN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신호방식 기술로서 현재 미국 NCR 사와 California Microwave사가
이 방식을 이용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Spread Spectrum System은 FCC가 정한
ISM(산업,과학 및 의학) 대역으로 전송한다.
ISM대역은 간섭문제로 FCC가
공식 승인하지 않고 규제하고 있다.
2.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LAN에 바탕을 둔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기술은 무선 스펙트럼 중 18.82~18,87GHz와 19.6~19.21GHz 대역을 사용하는데, 이 대역은 FCC가 승인하였으며 이 대역폭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Agent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연유로 모토롤라사만이 협대역 무선 LAN을 제공하고 있다.
3. 적외선
적외선신호는 무선스펙트럼의 일부는 아니며 FCC가 규제하지 않고 있다. 적외선 기술은 TV,VTR 및 기타 가전제품을 위한 원격제어에 사용하는 일반화된 방식으로서 BICC(Communications Photonics)사가 이 적외선 무선 LAN을 제공하고 있다.
[표] 전송방식별 비교
구분 |
스프레드 스펙트럼 |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
적외선 |
주파수 |
902~928 MHz |
18.825~19.205 GHz |
3*1014
Hz |
최대거리 |
105~800피트 |
40~130 피트 |
30~80 피트 |
가시선 |
아니오 |
아니오 |
예 |
전송전력 |
1와트 이하 |
25 mW |
적용불가 |
승인여부 |
아니오 |
예 |
아니오 |
건물간사용 |
안테나이용 |
불가 |
가능 |
정격속도(유선의 %) |
20~50 |
33 |
50~100 |
무선랜의 응용분야는 지정학적으로 제약이 없어 그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
현재 미국의 NCR사를 비롯한 일부 제조사들이 무선랜의 실용화를 서두르고 있고 일본의 경우 캐논사가 스프레트 스펙트럼 방식을 채용한 무선 랜 시스템을 개발중에 있으며 비용면에 있어서도 무선 랜 관련장비의 가격은 이미 하락추세에 있으며, 부품비용의 하락과 장치 통합기술의 발달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머지 않아 선이 없는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다니면서 LAN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도래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