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공학에 적용되는 법칙
및 효과[라]
전자유도에
의하여 유도된 기전력 즉, 유도전류의 방향을 간단하게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긴 기전력의 방향은 그 유도전류가 만들 자속이 항상
원래의 자속의 증가 또는 감소를 방해하는 방향이다"
- 전기회로에서 직류전류를 방해하는 것은 저항이지만,
교류전류는 방향 및 크기가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에 저항
이외에도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 성분이 있으며 이 저항성분을 리액턴스라고
한다.
- 유도작용에
의한 유도리액턴스와 축전작용에 의한 용량리액턴스가 있으며 단위는
Ω으로 표시한다.
- 저항과 리액턴스를 합성한 것을 임피던스라 한다.
기타
- 동기 리액턴스
동기기의 전기자 반작용과 전기자
누설
리액턴스를 일괄하여 전기자 단자에서 본 하나의 등가 리액턴스를 말한다
- 과도 리액턴스
동기기 리액턴스의 하나로 과도전류에
의한 리액턴스이며, 제동권선을 설치하여 방지한다.
- 교류회로에 있어 큰
유도 리액턴스에 의해 무효전력 흡수를 위해 사용.
- 공심형, 폐로철심형, 에어갭형의 3종류가 있다.
- 전기회로에서 V = IR, 자기회로에서 Vm = φR
- R : 자기력과 전자속의 비를 말하며, 단위는 (A·T/Wb)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