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뢰기는 낙뢰 및 회로의 개폐시 발생하는 과(서지)전압을
일시적으로 대지로 방류시켜 계통에 설치된 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한다.(피뢰기의 주 보호 대상물은 전력용 변압기이다)
피뢰기는 일반적으로 직렬갭과 특성요소로 구성되며, 계통의 전압별로 특성요소의 수량을 적합한 수량으로 포개어 조정한다.
SIC 피뢰기 |
금속산화물 피뢰기 |
정상시에는 방전을 하지 않고 절연상태를 유지하며, 이상 과전압 발생시에는 신속히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를 차단한다.
탄화규소 입자를 각종 결합체와 혼합한 것으로 밸브 저항체라고도 하며, 비저항 특성을 가지고 있어 큰 방전전류에 대해서는 저항 값이 낮아져 제한전압을 낮게 억제함과 동시에 비교적 낮은 전압계통에서는 높은 저항 값으로 속류를 차단하여 직렬갭에 의한 속류의 차단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SIC특성요소, 금속산화물 특성요소가 있다.
|
|
최근에는 갭레스형이 그 특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피뢰기의 특성도 |
상용주파수의 계통전압에서 서지가 겹쳐서 그 파고 값이
임펄스 방전 개시전압에 이르면 피뢰기가 방전을 개시하여 전압이 내려가며 동시에
방전전류가 흘러 제한전압이 발생한다.
서지전압 소멸 후 계통전압을 따라
속류가 흐르지만 처음의 전류 "0" 점에서 속류를 차단하고 원상태로
회복된다.
이러한 동작은 반 사이클의 짧은 시간에 이루어 진다.
기존의 Sic(탄화규소) 특성요소를 비 직선 저항특성의 산화아연(ZnO ) 소자를 적용한 것으로서, 전압-전류 특성은 Sic 소자에 비하여 광범위하게 전압이 거의 일정하며 정전압장치에 가까워 진다.
SiC소자는 상규 대지전압이라도 상시전류가 흐르므로 소자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손되기 때문에 직렬 갭으로 전류를 차단해 둘 필요가 있다.
갭레스 피뢰기의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1㎃ 로서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직렬 갭이 선로와 절연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 경량으로 되며 그 특징은 아래와 같다.
피뢰기가 소기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계통의 과전압, 시설물 차폐여부, 설비의 중요도, 선로 및 피 보호기기의 절연내력, 기상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적용한다.
설치장소의 최대상용주파 대지전압결정 ☞ 피뢰기의 방전전류의 크기 및 파형추정 ☞ 피보호기기의 충격 절연내력 결정 ☞ 피뢰기의 정격전압 및 공칭 방전전류의 결정 ☞ 피뢰기의 보호레벨 결정 ☞ 피뢰기의 설치 (시험성적서 확인, 유효설치거리 및 이격거리 검토)
전력계통 |
피뢰기 정격전압 |
||
전압(kv) |
중성점 접지방식 |
변전소 |
배전선로 |
345 154 66 22 22.9 11.4 5.7 6.6 3.3 |
유효접지 유효접지 PC접지 및 유효접지 PC접지 및 유효접지 3상4선 다중접지 3상4선 다중접지 3상4선 다중접지 비접지 비접지 |
288 138(144) 75(72) 24 21 12 7.5 7.5 7.5 |
- - - - 18 9 7.5 7.5 7.5 |
①공칭전압에 의한 방법
②접지계수 및 여유도와
계통의 최고허용전압(일선지락 사고시의 피뢰기 설치점에 나타나는 최고전압의
실효치 기준)을 고려한 계산법
③공칭전압과 접지방식을 고려한 방법
④전기사업자의 송배전선로 중성점 접지방식을 고려하여 정한 내선규정의
피뢰기 정격전압.
등으로서 여기에서는 ②,③의 방법을 설명한다.
α : 접지계수
계통의 어느 점에서도 접지계수가 80%를 초과하지 않는 계통을 말하며. 아래의 값을 적용한다.
β : 여유도
부하차단 등에 의한 발전기의 전압상승을 고려한 것.
Vm : 계통의 최고허용전압(상 전압으로 한다.)
αβ : 보통 115%로 산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피뢰기의 방전내량의 한계치를 표시하며, 한계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통전시에는 피뢰기가 파괴될 수 있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피뢰기
설치장소별 공칭방전전류를 규정하고 있다.
공칭 방전전류 |
설치장소 |
적용조건 |
10,000A |
발전소 |
전 발전소 |
변전소 |
|
|
5,000A |
변전소 |
66KV 및 그 이하 계통에서 BANK용량이 3000KVA이하인 곳. |
2,500A |
선로 변전소 |
배전선로 배전선 FEEDER 인출측 |
구분 |
IEC NO. 99-1 |
ANSI C-62.1 |
피뢰기 분류 |
10,000A |
Station Class |
피뢰기에 의하여 보호할 수 있는 절연기기의 보호레벨(보호가능한
절연 BIL의 범위)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방전특성과 제한전압
특성으로 결정한다.
뇌서지나 개폐서지 등의 과전압이 피뢰기에 인가된 경우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으로 정격전압(허용단자전압)의 실효값을 P라고 하면 표준파에 대한 방전전압 파고값은 (1.6~3.0)P의 범위이며 오손, 적설 등의 외부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갭에 병렬저항을 삽입하며, 갭 애관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뢰기 자체의 사고는 계통전체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특히 22.9KV - Y 계통용의 피뢰기는
반드시 단로장치가 부착된 피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피뢰기 2차 접지선의 굵기는 다음의 식으로 구한 값 이상으로 한다.
발전소에 침입한 뇌서지는 피뢰기에 의하여 제한전압까지
제한되어 피 보호기에 도달하게 된다,
그런데 변압기의
서지 임피던스는 1~6㏀ 정도로서 선로의 서지 임피던스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서지는 변압기 단자에서 정반사하고 다시 피뢰기
단자에 이르러서 부 반사하여 또 변압기로 향하여 진행한다.
이러한 전압진행파의
왕복반사는 왕복시간의 2배를 주기로 하는 감쇠진동전압이 제한전압에 중첩된
파형으로 되어 변압기 단자에 가하여 진다
|
변압기 단자에 가해지는 파고치 eT는 아래식으로 계산한다.
|
따라서 ℓ이 길어지면 감쇠진동주기가 길게 되고 파고치가 높게 된다. 또한 변압기의 BIL을 2ea로 하면 ℓ에는 영향을 받지 않지만 경제적인 면에서 채용되지 않고 계통별로 유효 이격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선로가 케이블인 경우에는 케이블의 양단에 피뢰기를 설치할 것을 검토한다.
상기 식에 의해 계산하면
- 22.9kv 계통 : 20m이하
- 154 kv 계통 : 65m 이하이다.
[표] 피뢰기의 최대 유효이격거리
선로 |
변압기 BIL (KV) |
피뢰기 |
유효 이격거리 |
|||
전압(KV) |
지지물 |
애자수 |
정격전압KV |
공칭 방전전류 A |
||
345 154 66 22 22.9 |
철탑 철탑 또는 철근콘크리트주 " " " |
20 10 4 2 2 |
1050 650 350 150 150 |
288 138(144) 75 24 21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
85 65 45 20 20 |
(주)
1) 애자는 10"×5 × 3"/4 현수애자
2) 피뢰기의 보호레벨은 ESB-153에 의한다.
3) 목주선로는 차폐되어 있는 것이 없으므로 고려치 않음.
1조의 피뢰기로 2개 이상의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데 상기 유효 이격거리 이내에
있는 기기는 보호된다고 본다.
4) ( ) 내는 ANSI C 62.1에서 규정한 수치임.
변압기의 중성점은 직접 접지시키지 아니하는 한 서지에 대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유효접지의 조건이 만족되는 범위내에서 일부 변압기의 중성점을 비접지(Floation)로 운전할 경우를 고려하여
중성점
Busing 및 피뢰기를 설치한다. 변압기 중성점에는 평상시 거의 전압기 가해지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이유에서 단절연을
실시한다.
중성점 피뢰기의 정격전압의 선정은 1선 지락시의 중성점 전압상승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 유효접지시 접지계수가 75%이므로
1선지락시 건전상의 최고 전위상승은 선간전압의 75%이하이다. 따라서 상승전압 = 0.75 x 설계최고 전압 (154kV의 경우 0.75 x 170) 127kV로 이를 상전압에 대한 값으로 표시하면 배의 상전압이 된다.a상 지락시 b,c 상은 최대 1.3 가 되므로 0점의 중성점 전위가 0'점으로 이동 된 값은 0.468 E 가 된다.
154kV
계통의 중성점 최대 전위 상승 En= 0.468 x 170/√ 3 = 45.9kV
345kV 계통의 중성점 최대 전위 상승 En=
0.468 x 362/√3 = 97.8kV
이에 따른 피뢰기 정격은 154kV의 경우 75kV, 345kV의 경우 108kV로
선정한다.
선정된 피뢰기의 특성을 기준으로 변압기 중성점의 BIL은
계 통 |
변압기 BIL(KV) |
중성점 보호용 피뢰기 |
|||
전압(KV) |
중성점 접지방식 |
선로단자 |
중성점 |
정격전압(KV) |
공칭방전전류(A) |
345 |
유효접지 |
1050 |
450 |
108 |
10,000 |
154 |
유효접지 |
650 |
350 |
75(72) |
10,000 |
66 |
PC 또는 비접지 |
350 |
250 |
50 |
10,000 |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