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히팅설비

가. 개요

나. 파이프 히팅 설비를 필요로 하는 설비

  1. 일부의 원유와 같이 상온에서는 고 점도이지만 가열함으로써 저 점도로 하여 수송하는 경우("예"연료중유)
  2. 가성소다, 유황과 같이 겨울에 응고할 우려가 있는 액체나 상온에서는 고체인데, 가열액화하여 수송하는 경우("예" 아스팔트, 쵸콜릿 크림 등)
  3. 외기의 온도가 저하하거나 액체의 전도가 높으면 수송 중에 유체가 파이프 속에서 동결하거나 굳어 버릴 염려가 있는 경우.
  4.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급수라인,탱크, 펌프 등

다. 파이프 히팅설비의 종류

  1. 가열온수나 스팀사용
  2. 전기가열

라. 전기가열의 특징

  1. 파이프라인의 전장에 걸쳐 균열가열이 가능하므로, 보온이 적합하면 균일온도로 유지하기가 편리하다.
  2. 가열방법이나 설계가 적당하면 유지관리가 거의 불필요하다.

마. 시설방식

  1. 전열선방식
    MI 케이블 등의 전열선을 파이프라인을 따라 설치하고 전열선이 발생한 줄열에 의해 가열하는 방식
  2. 직접법
    파이프라인에 직접 상용주파수의 교류를 흐르게 하고 파이프 자체에서 발생하는 줄열로 내부유체를 가열,보온하는 방식.
  3. 저주파유도가열방식
    파이프라인(파이프는 전도체일 것)의 외측에 가열코일을 감고 이 코일에 상용주파수의 저압교류를 흐르게 한다. 이때 이코일에 의해 발생한 교번자계 중에 놓인 파이프에 발생하는 와전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에 의해 가열하는 방식.
  4. 표피효과법(섹트 법)
    파이프라인에 소구경의 관을 용접하여 붙이고 소구경관에 교류전류를 흘리는 방식으로 교류전류의 귀로는 소구경관에 전선을 수납하여 원래의 소구경관을 관통하여 되돌아가게 하는 방식.
    이 경우 소구경관에 흐르는 전류는 표피효과에 의해 관 내측(용접된 부분)에 집중적으로 흘러 그 부분에 열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은 파이프라인에 전도되어 파이프 라인이 가열된다.

사. 설계 시공시 고려사항

  1. 파이프라인 히팅설비에는 수송하는 액체가 가연성일 경우가 많으며 또한 설비에 따라서는 수 ㎞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도 있어 감전,화재의 재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2. 사용전압 및 주파수는 기술기준 256조 각각의 방식별 기준에 의할 것
  3. 전원장치는 (기술기준 256조- 직접가열식  및 표피전류 가열방식의 경우) 기준에 의할 것.
  4. 발열선,리드선, 또는 발열선 및 발열관과의 접속은 기술기준 256조에 의할 것.
  5. 전용의 개폐기 및 누전차단기를 시설한다
  6. 접지
    수도관 등의 경우에는 제 3종접지공사를 한다. 기타 각각의 시설방식에 따른 접지방식을 기술기준 256조에 의한다.


Heating Cable의 종류별 특징
- Self Regulating Heating Cable (자동온도조절 발열선)
- Constant Wattage Heating Cable(정온전선)
- Mineral Insulated Heating Cable(MI 히팅케이블)
- Mat Type Heating 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