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감시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적용대상에 따라 배전선로 SCADA (Supervision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산업용 전력설비 SCADA, 빌딩 감시제어 시스템(건축물에 적용시 BAS에 포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력감시제어(전자, 통신, 컴퓨터 계측제어, 전력설비 및 계통운영)를 자동화한 시스템으로 기본목적은 무인 변전실화, 무인제어 및 정보관리, 무인계측 및 기록에 있다.
시스템 자체의 기본구성은 컴퓨터와 통신장치이며, 전력설비가
단말장치에 직접 접속된 일종의 DATA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전력 중앙감시장치 구성도 |
전체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는 내장 컴퓨터와 각종 원방감시 제어기능을 Real Time으로 처리하기 위해 각종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필요한 모든 정보 및 결과를 출력한다.
중앙 감시제어 시스템의 운영은 운전원이 하므로 시스템과 운전원 사이에 연결장치로 CRT, Logger, 경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자료취득 및 상호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Local에 설치된 단말 기기로부터 정보를 받고, 중앙의 조작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중앙과 단말간의 정보전송을 위한 제반장치.(MODEM, 장거리Transceiver 등)
각 Local Area별로 설치된 단말장치(RTU, DDC, DCS, 등)로서 통신부, 공통제어부, 신호 변환부로 구성되며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취득하여 중앙으로 전송한다.
모든 자료를 주기적 또는 기록을 요하는 사항 발생시 자동으로 측정 기록한다. (전압,부하량,무효전력,역율, 전력량, 주파수, 운전시간 등)
전력계통 및 송,배전선의 각종 차단기, 보호계전기, 주 변압기 등의 TAP위치, 소비전원의 상태 등을 원방 감시할 수 있다.
변전실의 무인운전이 가능하도록 차단기의 원격투입 조작과 변압기의 전압조정 등을 원격지에서 조작.
변전실의 화재, 출입문의 상태 등 보안상태와 전력계통의 이상발생, 사고 등을 분석하여 경보 및 상태를 기록.
★ Transducer
계측기는 검출부, 변환부, 전송부, 지시부의
4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검출부와 변환부의 하드웨어로서의
구별은 곤란하므로 이 두 부분의 기능을 가진 것은 트랜듀서라 불린다.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