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개요
합성수지관(경질비닐전선관)공사는 시설장소(중량물의 압력 또는 기계적 충격을 받는 장소 제외)의 제한이 없는 공사방법으로 그 특성상 절연성이 우수하고 작업성이 뛰어나며 경제적인 공사방법이나 특수장소나 인텔리젼트빌딩에서는 안전 및 설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접지시스템에 유리한 금속관공사가 추천된다.
나. 설계 시공시 고려사항
전선의 굵기 ㎟ |
지지점의 간격 m |
50 이하 |
30 |
적당한 방법
- 금속관의 종단내측에 견고한 나무(충분히
건조한 후 파라핀 등을 주입한 것)로 만들어진 나무테를 끼워 놓고 테의 내측에
역시 견고한 나무로 된 쐐기를 박아 테와 쐐기로서 전선을 지지하는 방법
- 1선용 Cleat에 의하여 전선을 지지하는 방법
- 적당한 애자로 전선을 지지하는
방법(耐張애자를 사용하거나 2개 이상의 애자를 사용하여 전선을 직각이상으로
굴곡되도록 할 것)
다.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선정
전선의 굵기 |
전 선 본 수 |
||||||||||
단선 |
연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전선관의 최소 굵기 ㎜ |
|||||||||||
1.6 |
|
14 |
14 |
14 |
16 |
16 |
22 |
22 |
28 |
28 |
28 |
|
14 |
14 |
22 |
28 |
28 |
36 |
36 |
42 |
42 |
54 |
42 |
|
60 |
22 |
42 |
54 |
54 |
70 |
70 |
70 |
82 |
82 |
|
|
200 |
36 |
70 |
82 |
|
|
|
|
|
|
|
(주)전선 1본에 대한 숫자는 접지선 및 직류회선의 전선에도 적용한다
전선의 굵기 |
후강전선관 |
||||
단선 |
연선 |
28 |
36 |
42 |
54 |
1.6 |
|
12 |
19 |
25 |
40 |
전선의 굵기 |
후강전선관 |
|||
단선 |
연선 |
14 |
16 |
22 |
1.6 |
|
4 |
7 |
11 |
전선의 굵기 |
단면적 ㎟ |
|
단선 |
연선 |
|
1.6 |
|
8 |
|
14 |
45 |
|
60 |
154 |
|
200 |
415 |
전선의 굵기 |
보정계수 |
|
단선 |
연선 |
|
1.6 |
|
2.0 |
|
14이상 |
1.0 |
|
전선관의 굵기㎜ |
내 단면적의 32%(㎟) |
내 단면적의 48%(㎟) |
전선관의 굵기㎜ |
내 단면적의 32%(㎟) |
내 단면적의 48%(㎟) |
14 |
49 |
73 |
36 |
307 |
4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