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전기회로는 전원 ☞ 차단기 ☞ 부하장치의 기본요소로
구성된다.
전원의 역할은 부하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에 있고 이 전기에너지는
부하장치로부터 다른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차단기의 성능은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전력을 전원으로부터 부하장치에 전달하기도 하고 저지하기도 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차단기에는 2가지의 동작상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close 상태에서는 공급전압과 회로 전 임피던스로부터 정해지는
전류가 차단기를 통하여 흐르고 open 상태에서는 전류는 "0" 이지만
전원전압이 그대로 양 전극간에 나타나게 된다.(그림참고)
|
따라서 차단기에는 정격전류와 정격전압, 정격차단전류가
있다, 정격전류라 하는 것은 전류를 연속해서 흘려도 각부의 온도상승이 규정
허용최대치를 넘지 않는 최대전류이고, 정격전압이라 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는 전압의 상한이다. 또 정격차단전류라 하는 것은 사고시의 고장전류를
차단 및 투입할 수 있는 한계전류치를 말한다. |
또한, 차단기의 기능은 지속전류를 전달하기도하고 전압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open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어느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의 변환이라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 작용은 차단기의 동작직전,동작직후의 전압에 따라서 조건이 달라진다. 즉, 접점이 닫히는 순간에 흐르는 투입전류와 그 정격전압, 접점이 열리는 순간에 생기는 회복전압과 그 순시전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그림참고)
평상시 정상부하를 개폐하고, 이상상태 발생시에는 신속히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에 접속된 전기기기 및 전선류를 보호하기 위한장치로서 사용장소, 사용전압, 차단용량에 따라 선정하여야 한다.
차단기는 그 기능을 생각해 볼 때 다음의 5가지 주요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칭 |
기능 |
전류전달부 |
전류전달부는 그중에서도 가종접점을 들 수 있다. 도전부는 전류에 의해 과도하게 발열하지 않도록 우수한 도전체가 사용되고 있고 또한, 가동부의 가속도에 기인하는 힘이나 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에 견딜 수 있으며 특히 접점에 걸리는 힘에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
절연부 |
고압이 흐르는 도전부는 전기적으로 대지와 절연되어야 하고, 또한 가종접점이 열려 있을 때에는 동상극간에도 절연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각 상간의 절연이 필요하다. 이러한 절연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절연체로써 여러 가지 물리적 조건이나 시설상태에 대해서 절연부는 전기적,기계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소호장치 |
회로에 흐르고 있는 전류를 차단하면 아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 아크가 소멸되는 부분이 소호장치로써 차단기의 소호장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또한 기술적으로도 가장 어려운 장치이다. 특히 아크를 소멸시키는 소호모체로 여러 가지가 있고 이들의 종류에 따라서 차단기가 분류된다. |
기구부 |
규정의 투입전류를 투입이나 차단전류의 차단을 하기 위해서는 가동접점의 동작은 고속도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대단히 큰 가속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힘이 요구되며 이 가속은 순간적으로 가동부에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차단동작시 조작력이 크므로 기수에 나타나는 충격도 크기 때문에 이러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
보조장치 |
차단기가 올바르게 동작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로써 보조장치, 인터록장치, 인출장치 등이 있다. |
차단기는 구조 및 소호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 유입차단기(OCB : Oil Circuit Breaker) (TCB :
"T" Type Mminimum Oil Circuit Breaker)
유입차단기는
전로의 차단이 절연유를 매질로하여
동작하는 차단기 즉, 절연유를 소호매질로 하는 것으로서 탱크형
유입차단기는 탱크 내부의 절연유 중에서 소호를 시키는 것이며, 소유량형은
탱크 대신 자기의 애관을 사용한 것이다.
사용되는 절연유는 일반적으로는
전류차단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주변의 절연유를 분해시켜 수소, 아세칠렌,메탄,에탄
등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들 가스의 성분비율 중 50~70%가 수소이고 이 수소가스는
4000°K 정도의 고온에서도 아주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아크의 냉각효과가
크다. 특히 소호실을 따로 가지는 油차단기는 피스톤효과에 의해 고온 고압가스가
분출구멍으로부터 분출할 때의 단열패창한 냉각효과와 소호실의 구성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아크의 제어 신선한 절연유의 보급 치환작용 등에 의한 절연회복의
촉진 등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자기차단기(MBB : Magnetic Circuit Breaker)
자기 차단기는 아크를 Arc Shoot와 같은 Ion 장치 중에 구동시킬 자기회로를 가지고
있어 대기중에서 전로의 차단을 하는 차단기를 말한다, 대기중에서 전자력에
의해 소호장치 내에 Arc를 구동하는 것이다.
전압이 3KV 이상에서 전류가 수천 암페어 이상으로 되면
대기중에서 소로 시키기에는 상당히 곤란하지만 대기중의 아크를 2매의 적당한
절연파늬 사이로 유인하면 비교적 간단히 차단될 수 있다는 것이 W.H社의 J.Slepian에
의해 실험으로 확인된 것을 시발로 하여 현재의 자기차단기는 역 V자 홈을 가진
내열자기제의 소호판을 적당한 매수로 적층시켜 Blow out Coil과 자극을 설치하여
아크전류를 Blow out Coil에 흐르게 하여 자계를 만들어 이 자계와 아크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이 경우 아크를 전류가 흐르는 도체로 간주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적용하면 아크의 운동방향을 알 수 있다) 아크를 소호실 안으로 불어 넣게 된다.
대기중의
아크는 고온에서 전리상태의 기체이므로 다른 차단기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냉각에
의해 전리상태로부터 절연체로 환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消 ion 또는 소호라
한다.
자기차단기의 경우에 내열자기의 소호판 표면에 고온
아크가 닿게 되어 열전도에 의해 냉각 消 ion 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
작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호판의 재질이나 역V자형 홈의 형상, Blow
out Coil의 권수, 설치위치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MBB의 소호원리는
상기와 같이 근본적으로는 냉각효과이지만 소호에 관련된 또하나의 장점은 한류효과이다.
이러한 한류효과는 적층시킨 소호판의 역 V자형의 홈 사이로 아크를 구동시켜
가늘고 길 게 늘어뜨림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3. 진공차단기(VCB : Vacuum Circuit Breaker)
진공차단기는 전로의 차단을 높은 진공중에서 동작하는 차단기로서 높은
진공중의 절연내력은 상당히 높고 또한 금속증기나 전하 입자의 확산에
의한 소호작용이 현저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살려서 진공용기 내에서
전류의 개폐, 차단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대기압의 상태로부터 차츰
압력을 내리면 당초에는 절연내력이 저하하지만 다시 압역을 내리면 절연내력은
상승한다.
그래서 10-4
Torr 이하로 되면 압력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절연내력(텅스텐 전극 사용시
100KV/mm)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진공차단기는 이 영역을 이용한고 있다.
이 진공차단기의 특성은 소형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불연성 무 소음으로서
수명이 길어서 차단기로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고속도 고빈도 개폐기의 기능
및 차단성능이 우수하다.
공기차단기는 전로의 차단이 압축공기를
매질로 하여 동작하는 차단기를 말한다. 즉, 압축공기를
소호매체로 하는 것으로 그 특성은 압축공기에 의해 결정된다.
압축공기의 절연내력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고 약 7kg/㎠ 에서는 새 절연유와 동등이상으로 된다.
5. 가스차단기(GCB : Gas Circuit Breaker)
가스차단기는 전로의 차단이 6불화유황(SF6
: Sulfar Hexafluoride)과 같은 특수한 기체 즉, 불활성 Gas를 매질로하여
동작하는 차단기를 말한다.
SF6 차단기의
특징은 SF6 가스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성질이
매우 우수하여 절연내력이 우수하고 소호능력이 뛰어나며 아크가 안정되고
회복이 빨라 고전압,대전류 차단에 적합하다.
차단시에 외부로
가스를 흡출하지 않아 공기차단기와 같은 폭발음이 없어 소음공해가 없으며,
변압기 여자전류차단과 같은 소 전류 차단에도 안정된 차단이 가능한다.
과전압의 발생이 적고, 아크소호 후 절연회복이 매우 우수하여 근거리 선로고장,
탈조차단, 이상지락 등의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하며 소형으로 축소가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급속히 사용되고 있다.
종류로는
차단부 압력방식에 따라 이중압력형과 단일압력형으로 분류되며 구조적으로
보면 애자형(Live Tyoe)과 탱크(Dead Tank Type)형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고 보수가 용이한 단일 압력형(Puffer Typ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5-1-1. 물리적 ·화학적 성질
5-1-2. 전기적성질
차단기에 통전과 절연외에 중요하게 요구되는
주 역할은
- 전력계통의 평상시 개폐
- 고장의 신속한 선택차단으로 피해의
최소화
- 계통의 유효한 사용이며
고장회로의 조건에 따라 차단기에 요구되고
있는 차단조건은 아래와 같다.
차단기의 선정은 정격전류 및 계산한 단락용량을 기준하여 전기적,열적,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여유(일반적으로 단락용량은 계산치의 120-160%)를 두어 선정한다.
정격전압 |
정격 차단전류 |
정격전류 |
정격 투입전류 |
정격 차단시간 |
||||
7.2 |
12.5 |
600 |
- |
- |
- |
- |
31.5 |
8 |
25.8 |
12.5 |
600 |
1200 |
- |
- |
- |
31.5 |
5 |
72.5 |
12.5 |
600 |
1200 |
- |
- |
- |
31.5 |
5 |
170 |
31.5 |
600 |
1200 |
2000 |
- |
- |
80 |
3 |
362 |
40 |
|
|
2000 |
|
4000 |
100 |
3 |
구분 |
7.2kv |
25.8kv |
72.5kv |
170kv |
362kv |
OCB |
○ |
○ |
○ |
○ |
|
TCB |
○ |
○ |
|
|
|
MCB |
○ |
|
|
|
|
VCB |
○ |
○ |
○ |
○ |
|
ABB |
|
○ |
○ |
○ |
○ |
GCB |
|
○ |
○ |
○ |
○ |
차단기의 조작방식은 투입조작방시과 트립조작방식이 있으며, 안전이라는 점에서는 동력조작을 적용하는쪽이 바람직하지만 경제성 면에서는 개폐빈도가 아주 적은 경우 등의 조건에 따라 수동 조작이 사용되어 진다.
구 분 |
특징 및 적용 |
|||||
투입조작 |
수동조작방식 |
|
||||
스프링투입 조작방식 |
|
|||||
전기(전자)투입조작방식 |
|
|||||
공기조작방식 |
|
|||||
유압조작방식 |
|
|||||
트립조작 |
전압트립방식 |
|
||||
전류트립방식 |
|
|||||
부족전압 트립방식 |
|
|||||
콘덴서 트립방식 |
|
|||||
조작자의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적용할 수 있는 수동조작 방식의 한도가 있으며, 아래의 표와 같다.
항목/규격 |
JEC-181 |
KS C 4611 |
|||
적용범위 |
3.6KV 이상의 |
3.6KV, 7.2KV용 수동 또는 동력조작의 교류차단기 |
|||
수동조작이 |
수동조작은 |
전압 KV |
차단전류 KA |
차단용량 MVA |
투입전류 KA |
3.6 |
1.6 |
10 |
3.2 |
||
3.6 |
4.0 |
25 |
8 |
||
3.6 |
(8.0) |
(50) |
(16) |
||
7.2 |
2.0 |
25 |
4 |
||
7.2 |
4.0 |
50 |
8 |
||
7.2 |
(8.0) |
(100) |
(16) |
||
[비고]
|
차단기의 조작기구는 기계적 트입자유방식이 채용된다. 이를테면 차단기의 명령인 회로보로를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투입조작중에 있어서도 트입 지령이 주어지면 트립조작이 먼저 행하여지는 조작기구로 되어 있다.
투입조작회로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방식은 전기적 트립 자유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1회의 투입신호에는 1회밖에 투입조작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투입신호와 트립신호가 동시신호로 주어져도 차단기는 "open"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Pumping방지)
[표] ES 150 차단기의 정격조작전압, 조작압력 및 제어
장치 및 기구별 |
정격치 |
변동범위 |
|
조작장치 |
전자조작(솔레노이드)의 정격조작전압 |
DC 125V |
투입 : 85~110% |
전자스프링조작의 정격조작전압 |
DC 125V |
투입 : 85~110% |
|
압축공기 조작의 정격조작 압력 |
- |
투입 : 85~110% |
|
유압조작방식 |
- |
- |
|
제어장치 |
정격제어전압 |
DC 125V |
투입 : 75~125% |
차단기의 정격이란 규정된 책무, 조건 및 특정한 조작하에서 차단기가 갖는 보증한계를 말하는 것으로 차단기선정시 반드시 검토하여야 한다
차단기에 가할 수 있는 사용회로의 최대공급전압으로 계통최고전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선간전압(실효치)으로 나타낸다. 차단기의 정격전압 선정은
회로전압과 대응하는 정격전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격전압,정격주파수에서 규정한 온도 상승치(40℃)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통할 수 있는 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차단기의 정격전류 선정은 최대부하전류 또는 배전선의 전류용량 이상의 정격전류를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3상단락 고장전류를 산출하여
결정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1선지락 고장전류가 3상 단락전류보다 더 큰 경우
1선지락전류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차단기의 경격투입전류란 모든 정격 및 규정된 회로조건 밑에서 규정된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할 수 있는 투입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차단기의 투입순간에 각 극에 흐르는 전류를 말하며 최초주파수에 있어서
순시치의 최대치로 표시하고 3상시험에 있어서는 각 상의 최대의 것을 말한다.
이의 크기는 정격차단전류(실효치)의 2.5배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실제로 고장(단락)난 회로를 개폐할 경우 단락전류가 흘러
단락전류에 의한 전자반발력으로 차단기가 완전히 투입되어도 차단기의 차단동작이
방해를 받아 차단불능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태가 되지
않도록 규정된 것인데 이 차단기가 투입할 수 있는 단락전류(파고치) 의
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정격차단전류가 결정되면 이 값도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다만, 수동 직접투입조작방식의 차단기에서는 조작력이 각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단락전류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주의를
요한다.]
정격투입용량은 정격전압과 정격투입전류의 곱에 의해 결정되며 3상의 경우 √3을 곱한다. 투입용량의 단위는 KVA 또는 MVA로 나타낸다.
차단기의 정격전류에 해당하는 회복전압 및 재기전압 등의 규정조건에서 규정동작책무 및 동작상태를 수행할 수 있는 지역률 차단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교류분(실효치)으로 표시하고, 비대칭전류를 대칭전류의 1.19배로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1.25배로 보고 있으므로 필요한 대칭차단전류를 구할 뿐 일반적으로는 문제가 없고, 계산으로 구하는 단락전류를 선정하면 된다.
2초간 차단기에 통해도 이상이 없는 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그 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와 같은 수치(실효치)를 표준으로 한다. 정격단시간전류의 최대파고치는 그 정격치의 2.5배로 한다.
정격차단전류를 모든 정격 및 규정조건에서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상태에
따라 차단할 때 소요되는 차단시간의 한도. (고속도차단이란
20/1000 sec 이하에서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차단기를 말한다)
즉, 차단기가 트립지령을 받고부터(보호계전기의 접점이 닫혀지고부터)트립장치가
동작하여 전류차단이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정격차단시간은
정전을 최소화하며, 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면서 고장의 파급을 최소범위로 저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야 하지만 고속도 차단을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고정밀도의 고가설비가 되므로 선로의 중요성, 차단기의 위치, 안정도, 보호계전방식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정격 차단시간은
정격주파수를 기준으로 한 사이클수로 표시한다.
정격전압 KV |
7.2kv 이하 |
72.5 kv 이하 |
170kv |
362KV |
정격차단시간 ㎐ |
8㎐ |
5㎐ |
3㎐ |
3㎐ |
5. 동작책무 : A, B, R, M Type의 4가지가 있다.
6. 중성점접지
7. 트립프리기능이 있을 것.
차단기의 대지 절연강도는 항상 가해지는 계통전압(교류전압), 단시간에 가해지는 이상전압(교류과전압) 및 충격성 이상전압 등에 대하여 견디어야 하며 차단기의 절연강도는 상용주파 및 충격파의 절연내력으로 표시된다. 절연강도는 대지절연강도로 표시되는데 같은 상의 주회로 및 단자간 및 다른상의 주회로 단자간의 절연강도는 대지가의 절연강도 이상으로 되어야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정격전압 KV |
상용주파내전압 KV 실효치 |
뇌임펄스 내전압치(KV 파고치 1.2/50㎲) |
|||
25.8 |
60(50) |
150(125) |
|||
정격전압 KV |
상용주파내전압 KV 실효치 |
|
개폐임펄스 내전압치(KV파고치 250/2500㎲) |
||
도전부와 대지간 |
동상극간 |
도전부와대지간 |
동상극간 |
||
362 |
450 |
520 |
1175(205) |
950 |
800(295) |
9. 정격차단 충전전류
케이블 및 72.5KV 이상의 가공송전선용
차단기는 정격전압에서 아래표1의 무부하 충전전류를 지장없이 차단할 수 있어야
하며, 최대 허용 개폐과전압은 아래 표2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선종 |
정격전압 KV |
정격차단 충전전류 KV |
가공송전선 |
72.5 |
10 |
케이블 |
25.8 |
31.5 |
정격전압 KV |
정격뇌임펄스내전압(KV-peak) |
대지최고허용개폐과전압(peak) |
적용 |
|
A |
B |
|||
7.2 |
60 |
36.4 |
14.7 |
A그룹 : 170KV 이하 계통 |
차단기용량(MVA) = √3 ×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로 구하며. 일반적으로 아래의 기준에 의한다.
배전선로 |
차단기용량(MVA) |
비고 |
|
수 전 용 |
일반배전선로 |
50~150 |
차단용량(MVA)
= ★ 차단기의 선정은 정격전류 및 계산한 단락용량을 기준하여 전기적,열적,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여유(일반적으로 단락용량은 계산 치의 120-160%)를 두어 선정한다 |
전용가공선로 |
150~200 |
||
전용지중선로 |
200~300 |
||
특고수전의 경우 |
750~1000 |
||
변압기용의 경우 |
아래식에 의해 계산
후 차단기용량 = 변압기정격용량(KVA) × 100 ÷ %z |
|
구분 |
유입 |
자기 |
진공 |
공기 |
가스 |
|
소호 방식 |
|
|
|
|
|
|
전 차단 시간 (Hz) |
5 또는 8 |
5 또는 8 |
3 또는 5 |
3 또는 5 |
3 또는 5 |
|
개 |
기 |
|
|
|
|
|
정격 |
|
|
|
|
||
단락 |
|
|
|
|
|
|
보수 |
|
|
|
|
|
|
차 단 능 력 |
||||||
|
|
|
|
|
||
소음 |
|
|
|
|
|
|
보수 점검 |
|
|
|
|
|
|
기타 |
|
|
|
"0" 점 차단이란 차단기가 완전히 개방되어 소호 완료시점을 말하며, 전압 0점 차단과 전류 0점 차단이 있다.
기타
[표] 차단기와 전자접촉기의 차이점
구분 |
전자접촉기 |
차단기 |
용도 |
부하전류의 개폐, 과부하 정도의 보호가 가능하며, 보통 전동기,콘덴서,변압기 등의 부하 개폐조작용으로 사용된다. |
사고시의 단락전류를 차단,투입할 수 있으며, 회로보호용으로 사용된다. |
기능 |
부하의 개폐가 주목적이므로 트립자유방식은 취하고 있지 않지만 개폐수명이 길다 |
회로보호가 주목적이므로 기계적으로나 전기적으로도 트립동작이 우선될 수 있도록 트립자유방식을 취하고 있다. |